
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들어 대구에 공급된 신규 아파트 3곳 일반분양 1순위 청약률은 5∼10%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첫 분양 아파트는 롯데건설이 달서구 본동에 짓는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입니다. 일반공급분 232가구와 특별공급 잔여분 238가구를 더한 470가구에 고작 45명이 1순위 청약해 청약률이 9.6%에 그쳤습니다.

이 아파트는 앞서 특별공급에도 249가구가 배정됐지만 11가구만 신청했었습니다. 소비자들의 선호가 비교적 높은 대형 브랜드마저 청약마감에 실패한 것입니다.
영대병원역 골드클래스 센트럴도 한자릿수 청약률을 기록했습니다. 보광종합건설이 남구 대명동에 짓는 이 아파트는 일반공급분(655가구)에 해당지역 1순위 청약자가 36가구에 불과했습니다. 1순위 청약률은 5.5%로 해당지역·기타지역 1·2순위 청약자를 모두 합쳐도 90가구뿐입니다.


남구 대명동에 소규모로 분양한 나나바루아 아파트 102동(일반공급분 57가구)은 해당지역 1순위 청약자가 6명에 그쳤습니다.
무순위 계약 조차 인기가 시들한 상황입니다. 남구 봉덕동에 공급되는 ‘힐스테이트 앞산 센트럴’의 경우 최근 3회째 무순위 청약을 받았습니다. 지난해부터 대구에서 무순위 청약을 받은 아파트는 34개 단지에 달합니다.

청약 미달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대구지역은 공급이 많았던 곳입니다. 2018년 2만902가구, 2019년 2만6970가구, 2020년 2만9960가구, 2021년 2만3550가구가 공급되며 4연 연속 2만 가구 이상 공급됐습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도 2만6000가구가량 공급될 전망입니다.
또한 올해부터 아파트 중도금, 잔금 대출 등도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되는 등 대출 규제도 강화됐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년간(2020년 말~2021년 말) 대구 인구는 3만2934명 줄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집값도 하락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넷째주 기준 대구 아파트 매매가가 11주째 하락하고 있습니다. 대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08% 내렸는데, 지난해 11월 셋째주 -0.02%를 시작으로 11주째 하락세입니다.
분양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지난달 18일 발표한 ‘1월 전국 분양경기실사지수(HSSI) 전망치’에 따르면 대구는 39.1로, 전달(62.5)에 비해 무려 23.4포인트 떨어져 전국 최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60선 아래를 기록했으며 2017년 10월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역대 최저치인데요. HSSI는 공급자 입장에서 분양을 앞두고 있거나 분양 중인 단지의 분양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HSSI가 100을 초과하면 분양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