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몰랐네’ 2030 제일 좋아하는 서울지역 아파트 5곳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지만 MZ세대에게 아파트는 여전히 인기입니다.

기성세대보다 자금이 부족한 MZ세대들은 몇 년 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적게 오른 틈새 지역을 겨냥하고 있다. 2030세대는 서울에서 어떤 곳의 아파트를 구입했을까요?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건수를 보면 서울은 지난해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41.7%로 40%를 넘어섰습니다. 2019년의 31.8%, 2020년의 37.3%를 크게 웃도는 수치입니다.

일명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족’, ‘빚투(대출로 투자)족’으로 불린 2030 세대가 지난해 집값이 가파르게 치솟자 의기의식에 무리하게 대출을 받거나 전세를 끼고 주택 구입에 나선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역적으로는 직주근접형의 도심이나 전셋값이 높고, 집값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매입 비중이 컸습니다.

젊은 층의 인기가 높은 강서구는 2020년 46%에 육박했던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 51.5%까지 상승하며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성동구도 2020년 49.0%에서 지난해는 51.1%를 기록하며 절반을 넘었습니다.

노원구는 2020년 38.6%였던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 49.3%로 10%p 이상 오르며 서울에서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들 3구는 9억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많아 주택담보대출이 가능한 데다 전셋값 비중이 높아 갭투자가 쉽고, 일부 재건축 추진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관악구도 비슷한 이유로 2020년 37.7%였던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 47.3%로 10%p 가까이 높아졌습니다.

이어 동대문·구로구(각 46.9%), 서대문구(46.8%), 중랑구(46.5%), 영등포구(46%) 등지도 2030 세대의 매입 비중이 45%를 넘었습니다.

이에 비해 고가의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3구는 2030 세대의 접근성이 떨어지며 서울 평균을 밑돌았습니다.

강남구는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2020년 28.5%에서 지난해는 26.7%로 서울에서 유일하게 감소했습니다.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