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7급공무원 vs 삼성맨 둘중 하나 고른다면? 놀라운 결과(연봉,성과급)

철밥통으로 불리는 공무원, 최근에는 9급부터 경쟁률이 하락하고 있는데요. 과거에는 먹고살기 어렵다며 공무원 열풍이 불기도 했었죠.

어렵게 스펙을 쌓아 일반 기업 취업에 성공해도, 퇴직의 벽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렇듯 공무원은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직업 중 하나이지만, ‘성공’의 지표라 여겨지는 대기업을 뛰어넘지는 못할 거라 생각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 커뮤니티에서 이뤄진 투표에서 의외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7급 공무원이 현직들이 평가하는 최고의 직업으로 선정된 것인데요.

심지어 국내 최고의 대기업인 삼성그룹 역시 7급 공무원의 벽을 넘지 못했습니다. 이러자 7급 공무원의 업무 조건과 환경이 어떻길래 이리도 열광하는 것이지 다들 궁금해했는데요.

삼성은 계열사별로 연봉과 업무 환경이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초봉 3,000만 원 선을 유지하는 중입니다. 특히 초봉이 높은 계열사는 금융·보험권인데요.

삼성화재의 경우, 신입사원에게 무려 4,500만 원 이상의 연봉을 지불해 ‘신의 직장’이라 불리기도 하죠. 여기에 성과급이 더해진다면 5,000만 원을 넘는 건 기본입니다.

의외로 삼성전자의 초봉이 다소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기본급만 따진 금액이라서 그렇습니다.

삼성전자는 계열사 중에서도 성과급 제도가 잘 발달한 것으로 유명한데요. 연봉의 50%, 월급의 100% 등에 달하는 성과급까지 포함한다면 신입사원 초봉은 5,000만 원 이상으로 올라갑니다.

2018년에는 DS 부문 우수 신입사원들에게 입사와 동시에 1,000만 원이 지불되며 화제를 모으기도 했습니다.

업무 환경에 대한 직원들의 평가는 대부분 비슷합니다. 사원들의 자기 계발 지원은 물론, 식비와 출퇴근 버스까지 지원해 대기업다운 복지 수준을 보여주는데요.

탄력근로 제도 도입으로 ‘워라밸’도 챙길 수 있습니다.

지나친 성과 위주의 업무 방식에서 실적에 대한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이들도 많았습니다.

부서 내에 형성된 경쟁적인 분위기도 심리적 압박에 한몫하였습니다. 많은 업무량과 후배들의 빠른 승진으로 인해 정년이 보장되어 있다고 단언하기도 힘듭니다.

반면 공무원은 일반 기업과 달리 신입 공무원의 연봉이 그리 높지 않은데요. 2020년 7급 공무원 1호봉의 월급은 일반직이 190만 원, 우정 직군이 170만 원, 그리고 공안 업무 종사자가 200만 원 수준입니다.

하지만 호봉이 점차 높아지면서 퇴직 전에 7,000만 원 선의 연봉을 넘길 수 있는데요. 여기에 정근 수당, 성과 상여금, 특수지 근무 수당 등 18종에 달하는 수당도 추가됩니다.

또한 공무원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일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각종 휴가는 물론 육아 휴직과 같은 지원 제도를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대기업과 달리 정년까지 보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7급 공무원들의 말에 따르면, ‘철밥통’이라는 별명에 비해 야근이 잦다는 말이 많습니다. 게다가 고난도의 시험으로 합격 자체가 어려운 편입니다.

삼성그룹과 7급 공무원을 비교한 투표가 퍼지자, 사람들의 의견은 완벽하게 엇갈렸습니다. 삼성그룹 취업을 더 긍정적으로 바라본 이들은 ‘공무원이 안정적인 것은 맞지만, 대기업의 초봉을 따라갈 수는 없다’는 반응이었습니다.

같은 출발선이라도 목돈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자산을 쌓기에는 당연히 대기업이 유리합니다.

또한 기업 문화도 점차 바뀌는 추세라, 더는 공무원의 안정성을 장점으로 내세우기 무리라는 의견도 내비쳤습니다.

7급 공무원에 한 표를 던진 사람들은 ‘돈을 많이 주는 데는 이유가 있다’로 반박했습니다. 삼성그룹 사원의 삶의 만족도가 공무원과 같을 수는 없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이렇게 둘은 높은 급여와 직업 안정성 부분에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는데요.

기업 문화도 점점 바뀌어가는 추세가 되면서 사람들의 의견이 더 다양해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