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도면 감사하게 생각하세요” 4억이나 내려서 팔고도 오히려 사줘서 고마워해야 한다는 지역

서울 강남구, 서초구와 함께 ‘강남 3구’로 통하는 송파구(사진)의 아파트값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 등 여파로 서울 외곽에서 시작된 집값 하락세가 강남 3구로까지 확산한 가운데 강남·서초구에 비해 송파구의 아파트값 낙폭이 유독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다주택자들이 ‘똘똘한 한 채’로 자산을 재편하는 움직임이 커지면서 강남·서초구보다 집값이 상대적으로 싼 송파구에서 매물이 쌓이고 매매가도 낮아지는 강남권 가격 차별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 주(11일 기준) 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하락했습니다.

2020년 5월 넷째 주(-0.04%) 후 2년2개월 만의 최대 하락 폭입니다. 지난 5월 넷째주 이후 8주 연속 내림세입니다.

올해 누적 변동률은 -0.13%로, 각각 0.31%, 0.66% 오른 강남구와 서초구는 물론 동작구(0.02%), 양천구(-0.04%), 영등포구(-0.10%) 등지보다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억 빠졌는데…”그 가격에라도 팔린 게 다행” 잠실의 ‘굴욕’흔히 ‘엘리트파레’(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파크리오, 레이크팰리스)로 불리는 송파구 잠실·신천동 인근 ‘대장주’ 아파트들도 이전 최고가보다 수억원씩 하락한 가격에 거래가 체결되고 있습니다.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면적 84㎡는 지난 15일 23억2000만원에 팔렸습니다. 작년 10월 기록한 신고가(27억원)보다 4억원 가까이 하락한 금액입니다.

잠실동 A공인 관계자는 “기존 최고가 거래는 수요자에게 인기가 많은 한강변 14층 매물이고, 이번 거래는 아파트 단지 중앙에 있는 중고층 매물이라는 것을 감안해도 낙폭이 작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신천동 파크리오 전용 84㎡도 지난달 21억1500만원에 거래되며 직전 최고가(25억3000만원, 2021년 8월)보다 4억원 넘게 떨어졌습니다.

작년 9월 24억5000만원까지 올랐던 잠실동 트리지움 전용 84㎡ 실거래가도 지난달 23억원으로 내렸습니다.

잠실동 B공인 관계자는 “잠실동 전체가 2년 넘게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어 급락한 가격에라도 거래가 된 걸 다행으로 여기는 집주인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규제 완화 기대로 들썩이던 재건축 아파트 집값도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송파구 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는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전용 76㎡는 지난달 직전 최고가(28억7000만원)보다 1억원 넘게 떨어진 27억5500만원에 거래됐습니다.

집을 사겠다는 수요가 위축되면서 아파트 매물도 쌓여 가고 있습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송파구 아파트 매물은 4233건으로 연초(2853건) 대비 50%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특히 서울에서 가구 수가 가장 많은 가락동 헬리오시티 매물은 같은 기간 230가구에서 473가구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