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치고 팔짝 뛰겠네” 1~2억도 아니고 한번에 ‘이만큼’ 떨어져 집주인들 쓰러진다는 동네

대표적인 1기 신도시인 경기도 성남 분당에서 매물이 대거 늘어나면서 억대 하락 거래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1기 신도시 재정비를 두고 정부와 여당의 발언이 엇갈린 여파라는 지적입니다.

26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분당에서 아파트 매물이 매일 늘어나 연일 올해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25일에는 3715건을 기록했는데, 대통령 선거가 있던 지난 3월 9일 3385건에 비해 약 10% 늘었습니다. 분당 아파트 매물이 3700건을 넘어선 것은 2020년 8월 20일 이후 21개월여 만에 처음입니다.

매물 적체가 심화하면서 하락 거래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매동 ‘이매삼성’ 전용 127㎡는 지난 17일 13억원에 팔렸습니다. 지난해 말 17억원에 비해 4억원이나 하락했습니다.

야탑동 ‘탑선경’ 전용 84㎡도 지난 18일 최고가에서 1억4000만원 하락한 12억원에 손바뀜됐습니다. 서현동 ‘시범우성’ 전용 134㎡ 역시 지난 7일 최고가 대비 2억 낮은 19억원에 거래됐습니다.

일대 부동산 업계는 가격 하락의 원인으로 정부와 여당을 지목한다. 1기 신도시 재정비를 두고 용적률 상한에 대해 엇갈린 메시지를 쏟아내면서 정책에 대한 시장의 불신감이 높아졌다는 지적입니다.

지방선거에 출마한 여당 후보들은 ‘용적률 500% 상향’을 외치는 가운데,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용적률 500%를 적용하면 기존 용적률이 200%대인 노후 아파트도 기존보다 건폐율을 낮춘 초고층 아파트로 재건축해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대감은 빠르게 식어가고 있다. 그는 “요즘에는 ‘그게 되겠냐’는 말이 나온다. 현 정부의 의지가 약하니 같은 당에서도 말이 다른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용적률 상향과 관련해 여권에서는 엇갈린 메시지가 이어졌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 김은혜 경기도지사 후보는 성남 분당·안양 평촌·고양 일산·군포 산본·부천 중동 등 1기 신도시에 용적률 300%를 적용하고 역세권의 경우 최대 500%로 상향 조정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습니다.

‘디자인 인센티브’를 적용해 용적률 10%를 가산하고 층고를 최고 50층까지 허용하겠다는 구상도 내놨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분당갑 후보도 최근 성남시 분당구 시범단지 한양아파트를 찾아 “분당 재건축을 강력히 추진하겠다”며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법이 허용하는 최대치로 끌어올려 제대로 재건축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집권 여당의 강력한 힘으로 ‘제1기 신도시 특별법’을 신속하게 제정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국토부 장관 취임을 앞두고 있던 지난 1일에도 ‘1기 신도시 역세권 용적률 500% 완화’에 대해 “어느 특정 지역에 통으로 500%를 준다는 건 있을 수가 없다”며

“용적률이 올라가려면 추가 용적률의 절반 이상은 전부 청년이나 공공임대로 다 내놔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1기 신도시가 재건축 사업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적률을 최대 500%로 올려준다는 여당 후보들의 주장과 대비되는 발언입니다.

이와 관련해 이종석 전 분당재건축연합회장은 “형평성에 어긋나는 1기 신도시 특별법도 안 된다는 주장”이라며 불쾌감을 표했습니다.

그는 “전체 지역에 용적률 500%를 적용하겠다는 것도 아니다. 역세권 등 고밀개발이 가능한 지역에 국한된 것”이라며

“다른 지역과 달리 1기 신도시는 30만 가구 전체가 노후화된 특별한 상황임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분당재건축연합회는 지방선거 이후 재정비를 위해 지난주 기존 임원 모두가 사퇴한 상태입니다.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