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Business

“죽겠습니다, 제 나이 마흔둘인데 회사서 나가라네요..”

화이트칼라의 대표 직종으로 꼽혔던 은행원들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평균 연봉 1억원으로 여전히 다른 업종을 압도하는 고액 연봉을 받고 있지만, 비대면·디지털 시대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은행 지점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속속 등장하는 등 ‘빅테크’ 기업의 금융 진출이 늘어나면서 은행원들의 입지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은행 지점은 약 1000곳이 문을 닫았고, 은행원은 10%나 줄어들었습니다. 은행들은 이렇게 빈자리에 IT 업무를 담당할 디지털 인재들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한 은행 임원은 “서울 강남에서 지점 한 곳을 운영하려면 점포 임차료 약 5억원에 직원 10여 명 인건비까지 합쳐 연간 20억원쯤은 들어간다”며 “지점들을 모두 안고 가면 인터넷은행과의 경쟁 등에서 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희망퇴직을 할 경우 최대 7억원 정도 목돈을 손에 쥘 수 있습니다. 또 자녀 대학 등록금 등에서도 혜택을 받는 조건이라 다른 업종에서 부러움을 사기도 하지만, ‘은행원의 추락’은 돌이킬 수 없어졌다는 말이 나옵니다.

한 은행 직원은 “은행 입장에서는 그런 조건을 내걸더라도 은행원을 줄이는 것이 낫다고 보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습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SC제일·한국씨티은행 등 7개 은행의 올해 희망퇴직자는 488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여기에 우리은행이 20일부터 추가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 올해 희망퇴직하는 은행원은 5000명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지난 1월 희망퇴직을 통해 800명을 내보냈고, 신한은행은 1월(220명)과 7월(130명)에 두 차례 희망퇴직을 단행했습니다.

소매금융 사업을 국내에서 접기로 한 씨티은행은 2300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했고, 은행 측은 이 중 1980명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희망퇴직 대상 연령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1960~70년대 출생자가 주된 대상이긴 하지만 농협·우리·하나은행은 만 40세를 갓 넘은 1980년생까지 희망퇴직 대상자로 정했습니다.

은행원들을 대거 내보내는 흐름이 지속되면서 은행원 숫자는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작년 기준 은행권 임직원 수는 12만 2004명입니다. 13만6353명이었던 2016년과 비교하면 4년 만에 10.5%(1만4349명) 감소했습니다.

은행들이 인력을 계속 줄이는 이유는 목 좋은 곳에 지점을 확보해 고객들을 끌어오는 전통적 영업 전략이 힘을 잃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중은행의 한 간부는 “은행 업무가 비대면 디지털화로 가는 속도가 지난해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빨라졌다”며 “기존 지점 단위 영업, 은행원들의 대면 서비스 등의 전통적인 방식을 고집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은행들은 디지털화를 앞당기면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빠른 속도로 지점을 폐쇄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은행 지점은 2012년 말 7835개로 정점이었으며, 이후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2015년 말 7446개에서 올해 6월 말 6462개로 감소해 5년 반 남짓한 기간 984개가 감소했습니다.

대신 시중은행들은 앞다퉈 ‘온라인 화상 상담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가장 앞서가는 신한은행의 경우 작년 11월부터 원격 상담용 ‘디지털 데스크’를 갖췄습니다. 스크린을 통해 마주 보는 은행 직원이 비대면으로 각종 예·적금 상품 가입을 안내해주고 대출 상담도 해줍니다.

현재 전국 73개 지점에 84대의 디지털 데스크가 있습니다. 다른 은행들도 추격에 나섰습니다. 지난 13일에는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각각 원격 화상 상담 창구를 동시에 열었습니다.

은행들은 거의 모든 창구 업무를 화상 상담으로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지점을 폐쇄하는 데 대해 “디지털 업무에 어두운 고령자들을 배려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지만, 은행권에서는 “은행원을 두는 지점은 갈수록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X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