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는 안떨어진댔는데..” 집주인들 울상짓는 이유

지난해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인천이었습니다. ‘인천의 강남’으로 불리는 송도국제도시 집값도 남다른데요.

작년 인천 내에서 거래된 아파트(전용 84㎡ 기준)를 가격 순으로 살펴보면 10곳 중 6곳이 송도에 있는 아파트일 정도였습니다. 송도가 인천 집값을 끌고 있는 셈.

하지만 올해 분위기는 확 달라졌습니다. 송도 집값은 당분간 주춤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지난해 급등에 대한 피로감, 3월 대선 등을 앞두고 침체한 분위기가 지속될 것이라는 주장이 많습니다.

실제 송도에서는 청약에서 미계약분이 나오고 집값이 하락하면서 매물이 쌓이는 등 침체되고 있습니다.

5일 부동산 정보제공 앱(응용 프로그램)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 내에서 거래된 전용 84㎡ 아파트 99건 가운데 58건이 연수구에서 거래됐습니다. 58건 가운데 단 한 건을 제외한 57건은 모두 송도국제도시에서 주인이 바뀌었습니다.

작년 인천에서 가장 비싸게 팔린 단지는 송도동에 있는 ‘송도더샵퍼스트파크(15블록)’로 이 단지 전용 84㎡는 지난 9월 14억7000만원에 거래됐습니다. 직전 거래인 13억원(8월)보다 1억7000만원 비싸게 팔렸습니다.

송도에서도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가 15억원에 바짝 다가선 것입니다. 15억원은 초고가 주택을 가르는 기준입니다.

정부는 2019년 ’12·16 대책’을 통해 투기과열지구 내 15억원 초과 주택에 대한 대출을 전면 금지했습니다. 실수요자들의 심리적 마지노선이기도 한데, 14억원까지는 집값이 쉽사리 오르다가도 15억원을 앞두고는 거래가 정체되기도 합니다.

이어 △송도더샵퍼스트파크(14블록) 13억7000만원 △송도더샵퍼스트파크(13-1블록) 13억1000만원 △송도센트럴파크푸르지오 13억원 △청라한양수자인레이크블루 12억9500만원 △송도더샵마스터뷰(23-1블록)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2차(12억원) △송도글로벌파크베르디움 11억9500만원 △송도더샵마스터뷰(21블록) 11억9000만원 △송도더샵그린워크3차(18블록) 11억6000만원 등 상위 10곳 중에서도 단 한 곳을 제외하고는 송도 아파트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시 전경.

인천 집값은 작년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작년 인천 집값은 직전년도보다 34.66% 상승했다. 전국 평균이 18.45%임을 고려하면 2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경기 24.31%, 충북 21.04% 등을 훌쩍 웃돌았습니다.

수도권 내에서만 봐도 인천은 두각을 드러냈습니다. 인천의 지난해 집값 상승률 34.66%는 2020년(17.68%)보다 16.98%포인트 뛰었는데, 서울은 같은 기간 18.6%에서 14.75%, 경기는 24.6%에서 24.31%로 상승 폭이 줄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분위기가 가라앉았습니다. 인천 집값은 지난달 31일 기준 0.04% 내리면서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8개 구(區) 가운데 계양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하락 전환했습니다.

송도국제도시가 있는 연수구는 2주 연속 하락 중입니다. 매수심리를 나타내는 매매수급지수도 지난해 12월 셋째 주(99.8) 이후 6주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집을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더 많단 뜻입니다.

매물도 쌓이고 있습니다. 인천 매물은 두 달 전보다 20.7% 늘어난 1만8796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광주(32.6% 증가)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매물 증가율을 두 번째로 높습니다. 시장에서는 침체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집값 반등은 어렵지 않겠냐는 의견이 많습니다.

연수구 송도동에 있는 A 공인 중개 관계자는 “집을 사겠다는 실수요자들의 문의도 많이 줄었고 집을 내놓겠다는 집주인도 뜸한 상황”이라며 “대출 규제에 금리까지 오르다 보니 시장 분위기가 가라앉았다”고 전했습니다.

오늘의 추천뉴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