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아닙니다, 하루 133만원이라는 초고가 집은 어디?

하루에 133만원 월 4천만원의 집이 있어서 화제입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서울 강남구 PH129(더펜트하우스 청담) 전용면적 273.96㎡ 6층의 임대차 계약이 보증금 4억원, 월세 4000만원에 체결됐습니다. 2년이면 월세만 9억6000만원. 웬만한 지역 아파트 한 채 살 돈입니다.

하루 임대료로 하면 133만원. 웬만한 특급 호텔의 스위트룸 가격보다도 높습니다.

월세 4000만원은 작년 7월30일 서울 성동구 아크로포레스트 전용 264.546㎡가 기록한 월세 최고 기록(2700만원)을 큰 폭으로 뛰어넘는 역대 최고가입니다.

다만 아크로포레스트 해당 거래건은 보증금이 20억원으로 PH129보다 16억원 높았습니다.

전월세 환산율을 통해 둘을 비교할 수 있는데, 최근 시세는 보증금 1억원을 보통 월세 30만~40만원으로 환산합니다.

보증금 16억원 차이를 월세로 환산하면 640만원. 아크로포레스트의 해당 거래건의 보증금을 4억원으로 낮추면 월세는 기존 2700만원에 660만원을 더한 3340만원으로 올라갑니다.

이것과 이번에 계약된 PH129의4000만원을 비교하면, PH129가 600만원 이상 더 높습니다. PH129의 월세 4000만원은 강남구 평균 월세가격(약 250만원)과 비교해도 16배에 달합니다.

PH129는 현대건설이 서울 청담동에 옛 엘루이호텔 부지를 개발해 지은 것입니다. 지하 6층~지상 20층, 29가구 규모 우리나라 최고급 주택이다. 유명 연예인과 일타 강사 등이 소유한 것으로 알려지며 계속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월세 거래된 전용 273㎡6층의 공시가격은 74억3100만원이고, 동일 면적의 매도 호가는 90억원에서 150억원에 달합니다.

이런 초고가 월세 계약은 누가 하는 걸까. 강남 한 공인중개사는 “집값 상승을 굳이 기대하지 않는 경우라면, 좋은 집에 살기 위해 거액을 묵혀 두길 싫어한다”며 “사업가나 고소득 전문직, 또는 외국에서 한국으로 파견 근무를 온 CEO 급 외국인들이 초고가 월세를 산다”고 전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 전세는 작년 11억원을 넘었다가 올초 8억원대까지 떨어졌었는데, 이달 들어 10억5000만원에 거래가 이뤄지며 작년 말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현지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급매물이 거의 소진된 후, 사정이 급하지 않은 집주인들은 차라리 집을 비울지언정 호가를 낮추지 않는다고 합니다.

전세 하락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에 전세 가격을 낮추지 않는 것입니다.

한 번 계약하면 4년 간 전셋값이 묶이는 셈이라 스스로 생각하는 제값에 전세가 나갈때까지 기다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다주택자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상황에 따라 매각을 염두에 두고 가격을 낮추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세입자를 들이면 최대 4년 간 아파트 매각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서울 성북구와 송파구는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국부동산원 집계에서 성북구 아파트 전셋값은 올 들어 0.43% 내렸다. 서울 25구 중 가장 큰 내림폭입니다. 송파구 전셋값도 0.14% 떨어졌습니다.

두 지역은 대단지 아파트 입주가 진행중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성북구의 경우 지난 1월부터 길음동 2029가구 규모 ‘롯데캐슬클라시아’ 입주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용면적84㎡의 전세 호가는 7억~8억원대에 형성돼있습니다. 작년 10월 같은 면적 전세가 9억원에 거래됐는데, 입주가 시작되자 1억원 가량 떨어진 것입니다.

현재 이 아파트는 전세 매물이 아직도 350건 남아 있습니다. 그러면서 인근 다른 아파트도 전세 호가가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1억원 넘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